-
STP / PVST(MST)프로젝트로 네트워크 구조 이해하기 2021. 9. 29. 20:52
STP
STP 동작 확인
- SW# show spanning-tree
PVST
STP 단점에 대한 솔류선이 PVST이다. (Per-VLAN STP)
[이미지]
위 그림과 같이 특정 포트를 블로킹한다. 이 블로킹 포트 때문에 사용할 수 없는 링크가 생긴다.
이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 PVST(Per-VLAN STP), MST 프로토콜 이다.
(PVST는 시스코용, MST는 표준)
PVST, MST 프로토콜은 VLAN그룹별로 독립된 STP를 돌린다.
[이미지]
위 그림과 같이 SW1은 VLAN10에 대한 Root 스위치, SW2는 VLAN20에 대한 Root 스위치가 된다.
VLAN10에 대한 검은새 포트가 블로킹되므로 VLAN10에 속한 트래픽은 검은색 경로로 다닌다.
VLAN20에 대해서는 희색 포트가 블로킹되므로 VLAN20에 속한 트래픽은 회색 경로로 다닌다.
SW1을 VLAN10에 대한 Root 스위치로 설정 방법
- SW1(config)# spanning-tree vlan 10 priority 4096
VLAN10에 대한 priority값이 SW1이 제일 낮아 Root 스위치가 된다.
SW2을 VLAN20에 대한 Root 스위치로 설정 방법
- SW2(config)# spanning-tree vlan 20 priority 4096
VLAN20에 대한 priority값이 SW2이 제일 낮아 Root 스위치가 된다.
'프로젝트로 네트워크 구조 이해하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L3 스위치 (0) 2021.09.29 FHRP (HSRP / VRRP) (0) 2021.09.29 EtherChannel (0) 2021.09.29 '프로젝트로 네트워크 구조 이해하기' 포스트 순서 및 소개 (0) 2021.09.28